Port Forwarding on Raspberry Pi
환경확인
우선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(HW)는 Rasberry Pi 5,
공유기는 KT 공유기를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.
현재 SSH 접속은 내부망, 즉 같은 wifi가 연결되어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.
이걸 외부에서 접속하거나, 웹사이트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포트포워딩 과정을 진행하려고 합니다.
포트포워딩
외부망에서 라즈베리파이로 접속하기 위한 과정은 외부망-공유기(내부망)-라즈베리파이의 단계로 연결됩니다.
외부에서 라즈베리파이로 접근하기 위해 외부 IP를 알아야 합니다. 외부 IP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
GUI 환경의 경우 네이버나 구글에 "내 IP" 등으로 검색하면 외부에서 보이는 내 IP, 외부 IP를 확인할 수 있고
CLI 환경에서는 아래 코드를 작성하여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url ifconfig.me
이것으로 외부에서 접근 시에 어떤 IP주소로 접근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.
이제 포트포워딩 설정을 위해 172.30.1.254를 주소창에 입력하여 KT GiGA WiFi home 환경에 접속합니다.
이때는 같은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사용하여 접근하여야 합니다.
초기 ID와 PW는 다음과 같습니다.
ID : ktuser
PW : megaap 또는 homehub
다음으로는 장치설정-트래픽 관리- 포트포워딩 설정에 접근한 뒤,
외부포트에 원하는 포트번호를 선정하여 입력합니다.
▶(되도록 자주 사용되는 포트번호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80 [http], 443 [https], 22 [ssh])
내부 IP주소에 라즈베리파이의 내부 IP를 입력해야 합니다.
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터미널에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hostname -I #1번방법
ifconfig #2번방법
이후 내부포트는 22번, 설명은 SSH로 작성하고 추가한 뒤, Putty를 이용하여 SSH 접속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.
외부에서 접속 시에는 가장 처음확인하였던 외부 IP주소를 Host Name 입력창에 저장하고, Port 입력창에는
설정해 두었던 외부포트의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.
작은 사용팁으로는 하단의 Saved Sessions에 이름을 작성하여 Save 해두면 매번 일일이 IP와 Port 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
클릭하여 SSH 접속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좋은 하루 보내세요.